조회 수 181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선운산 도솔천 계곡 끝자락에는 도솔암이 있고,

거기서 산길 따라 조금 더 오르면 누구나 우러러 볼 수 밖에 없는

마애불이 커다란 바위 절벽에 하나 가득 새겨져 있다.

33천 중에서 네번째 하늘에 해당하는 도솔천에서는 미륵불이 태어난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그가 바로 그 미륵불인가 싶다. 

대부분은 여기까지 와서 그냥 발길을 돌리는데 기왕 다리품 판 김에

내원궁 일주문 지나 가파른 계단 끝까지 올라가보는 게 좋다.









선운산 도솔천계곡에서






수 천 수 만 송이 붉은 목숨과도 같은 동백이 지고나면 선운사 계곡에는 어김없이 벚꽃이 핀다. 그리고 그마



저 꽃비처럼 흐르는 물에 몸을 던져 봄을 마감하면 계곡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맞이한다. 가사 없이 곡만



전해오는 <선운산가>와 더불어 사계절 자연은 물 흐르듯 그렇게 스쳐가고, ‘추사’도 가고 ‘백파’도 갔으며, 



<禪雲寺 洞口>를 노래한 ‘미당’도 갔다.





 

 



<!--[if !supportEmptyParas]--> 

선운사와 동백꽃으로 유명한 선운산은 전라북도의 도립공원으로 그 높이가 불과 336미터에 불과하다. 형제



처럼  올망졸망 솟아있는 주변의 바위 봉우리들 역시 4백미터 남짓한 낮은 산이지만 사람들에게 알려지기로



는 그보다 훨씬 높은 국립공원의 산들 못지않다.







 가수 송창식이 노래했으며, 최영미 시인이 읊음으로 해서, 또 유홍준씨가 입에 침이 마르도록 예찬함으로써



운사, 그리고 선운산은 천연기념물이나 보물급 문화재 이상의 신비로운 ‘생명력’을 갖기에 이른 셈이다.





 

 



최영미 시인의 <선운사에서>가 첫 번째로 실려있는 시집 ‘서른, 잔치는 끝났다’가 나올 무렵인 1990년대 초



반, 선운산에는 한 무리의 젊은 등반가들이 암벽등반 코스를 개척하기 시작했다. 투구바위며 속살바위 등 곳



곳의 암벽에는 이들이 흘린 땀의 결정체가 고스란히 또 다른 의미의 시로 탄생했다. 그리하여 선운산은 당당



히 ‘한국 스포츠클라이밍의 메카’라는 또 하나의 새로운 이름을 얻기에 이른다. 올 봄에는 선운산 암장에 “클



라이밍이 인생 그 자체”라는 독일의 뛰어난 등반가 슈테판 글로바츠가 다녀가기도 했다. 




 

 


 

꽃이 지고도 한참 지난 한 여름, 온통 짙푸른 나무 그늘이 흡사 동굴처럼 드리운 선운사 계곡을 걸었던 적이



다. “꽃이 지는 건 쉬워도 잊는 건…영영 한참”이라고 했던가. 서른에 잔치를 끝장 낸 그 시인은….




 

 

 

단풍이 물들기 시작하면 선운사 동구에서 도솔암에 이르는 길은 또 다른 별천지를 이룬다. 이 길에서 시간은



잠시 멈추고 형언할 수 없는 가락의 노래가 남으며,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환희와 더불어 영혼은 마냥 자유로



워진다. 도솔암까지 한 시간 남짓 걷는 사이 모든 이들의 마음이 기쁨으로 충만할 수 있다면 그건 순전히 욕



계의 여섯 하늘 중에서 미륵이 태어난다고 하는 네 번째 하늘 ‘도솔천(兜率天)’이 주는 선물일 게다. 


 

 



 

 



*불교설화에서 수미산(須彌山) 꼭대기로부터 12유순(由旬)이나 되는 곳에 도솔천이라는 천계(天界)가 있고, 거기에 내원궁·외원궁이 있는데  미륵보살은 그 내원에 거처하면서 석가의 교화(敎化)를 받지 못한 중생(衆生)을 위하여 설법을 하고, 남섬부주(南贍部州)에 하생(下生)하여 성불(成佛)할 시기를 기다린다고 한다.


글 사진/김우선

  • profile
    권화현6 2012.03.08 12:26

    나도 언제가 가보았던 선운사인데

    내 눈엔 마치 고속도로를 달리며 본 그런 광경만 남아있는건 뭔일이지?ㅋㅋ

    보는 만큼 보이는게 아니라 아는만큼 보여서 그런가??

  • profile
    김우선 2012.03.08 12:33

    그렇기야 하겠냐만은

    어쨌건 본 만큼 느끼고 느낀 만큼 보이는 건 사실일게야.

    그런데 혼자 가면 더 많이 느낄 수 있겠더군.

  • profile
    류태용4 2012.03.08 15:30

    적절한 해설과 발품으로 만들어낸 사진이 예술이다.올 봄엔 가족 동반해서 갈 계획을 만들어 볼까(?)

  • profile
    김우선 2012.03.09 09:52

    동백꽃 필 무렵이라서 좋을거야. 선운사 들렀다가 미당문학관과 소요사까지 가보면 더욱 좋겠지. 소요사는 찾는 사람들이 별로 없어서 좋아.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이야기, 하고싶은 이야기.../로그인 사용자만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홈페이지 로그인 안되는 동문은 4 (梅山)권화현6 2014.05.26 34323
공지 보이스 피싱 급증... (梅山)권화현6 2014.02.19 14302
공지 사랑방 주소 file (梅山)권화현6 2014.02.07 14372
656 월간 사람과산 3월호에 실린 제1회 연지인 행복콘서트 관련 기사 2 file 서동린 2012.03.25 1698
655 등산화 비싸다고 다 좋은 게 아니다 1 file 김우선 2012.03.23 1630
654 7인의 PD / 드라마를 말하다. 7 file 김기복 2012.03.15 1616
653 자작나무숲의 선물 5 file 김우선 2012.03.14 1842
652 <본다고 다 보는 게 아니다> 1 file 김우선 2012.03.14 1415
651 꽃은 젖어도 향기는 젖지 않는다. 3 권화현6 2012.03.08 1635
» 선운산 도솔천계곡에서 4 file 김우선 2012.03.08 1811
649 <언제나 낯선 3월에게> 2 김우선 2012.03.05 1720
648 영원히 변치 않는 것에 대하여 9 file 김우선 2012.03.04 1837
647 연지인 행복콘서트 2강을 마치고 2 김우선 2012.03.04 1502
646 인터넷 서핑이 어려울 정도로 버벅 거릴때...!! 권화현6 2012.02.27 1667
645 "이 탭은 복구 되었습니다"라는 명령과 에러 표시.. 권화현6 2012.02.25 3301
644 우리 홈페이지를 사용하시면서... 권화현6 2012.02.25 1551
643 김우선의 "내마음의 여로를 따라서" 9 file 권화현6 2012.02.24 1505
642 어제 홈피에서 생긴 일...!!! 5 권화현6 2012.02.22 17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