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86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동갑내기 시인과 소설가의 시비


섹서폰 연주를 뒤로 하고 ‘쌍줄기 약수터’를 지나면 오르막 언덕길에 잘 생긴 단풍나무 몇 그루가 서 있고, 또 하나의 시비가 반긴다. 소설가 이병주의 <북한산 찬가>를 새긴 것인데 잡초 무성한 가운데 외롭게 서 있다. 그 위로는 잘 다듬은 잔디밭에 김수영 시비가 새초롬하게 서 있다. 


두 문인과 친분이 있던 고 김장호 시인은 언젠가 한 번 “소설가로 돈 잘 벌던 이병주가 낸 술 마시고 집에 돌아가다 김수영이 교통사고로 죽었다”면서, 둘의 시비가 가까이 있는 걸 그리 탐탁치 않게 여기곤 했다. 그러나 어쩌랴. 이제 그 김 시인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니 말이다.


김수영 시인이 죽은 날짜는 1968년 6월 16일. 시비는 1년 후인 1969년 6월 15일 현대문학사가 주관하여 전체 문인들의 뜻을 모아 세웠다. 고인의 육필과 함께 생전의 얼굴 부조까지 한쪽에 넣어서 금방 눈에 띄는 ‘작품’이다. 매년 기일이 되면 가까웠던 문인들과 가족이 이 자리에서 추모하는 모임을 갖기도 한다. 


김수영 시인이 도봉산 자락에 이사 온 것은 생활고 때문이었다. 서울이지만 촌이나 다름없던 도봉동에서 양계업과 번역 일로 생계를 잇고자 한 이사였는데 그게 마지막 이사가 되고 말았다. 


잘 나가던 소설가 이병주는 말년에 도봉산과 북한산을 자주 찾았다. ‘친구의 배신’과 ‘애인의 변심’이 모두 자신이 그리 했기 때문에 초래한 결과라고 후회하는 그의 <북한산 찬가>에서는 노년의 쓸쓸한 심경이 절절이 묻어난다. 아무튼 1921년생으로 동갑내기 술친구이기도 했던 시인과 소설가는 죽어서 시비로나마 나란히 서서 쓸쓸함을 달래고 있다.


김수영 시비 바로 위쪽은 서울특별시에 현존하는 유일한 서원, ‘도봉서원’이다. 1970년대에 새로 지어서 그리 고풍스럽지는 않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4백년 역사의 무게가 서서히 다가오는 곳이다. 오후의 비끼는 햇살을 받으며 단아하게 자리한 서원 오른쪽에는 2백 년 된 느티나무가 말없이 세월을 증거하고 있다.

[출처] 도봉산|작성자 Originalpleasure

  • profile
    권화현6 2012.05.22 10:03

    도봉산찬가 가 아니고 북한산 찬가라고...ㅎㅎㅎ

    그래 이제 잊지 않을 것 같네..

  • profile
    김우선 2012.05.23 14:23

    신출내기 기자들이 도봉산하고 북한산을 헷갈려서 오보를 내곤 하지.

    데스크에서도 발견하지 못하고 신문에 나가는 거야.

    이를테면 도봉산 인수봉에서라든가 북한산 선인봉에서와 같은 기사 말이야.

    인수봉은 북한산에 있고 선인봉은 도봉산에 있는데 이걸 바꿔 쓰는 거지.

    그야말로 동서남북 못가리는 기사가 나오는 건데

    이병주의 북한산찬가가 왜 북한산으로 못가고 도봉산 김수영 시비 밑에

    와 있게 되었는지는 이제 충분히 알았으리라 믿네.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이야기, 하고싶은 이야기.../로그인 사용자만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홈페이지 로그인 안되는 동문은 4 (梅山)권화현6 2014.05.26 34323
공지 보이스 피싱 급증... (梅山)권화현6 2014.02.19 14302
공지 사랑방 주소 file (梅山)권화현6 2014.02.07 14372
881 언제 군대 가실 건가요? (최신유머) 5 정구홍9 2010.12.11 3000
880 마후라 수리 완료 6 권화현 2010.12.12 2995
879 유태용동문 신사업 시작 7 권화현 2010.09.30 2991
878 오늘 서핑중 읽은 한마디 7 권화현6 2011.08.26 2982
877 진보집권 플랜 4 권화현 2011.02.16 2953
876 눈이 시원한 사진 한장 5 file 김인식 2011.08.04 2948
875 첫눈이 내린 날~ 3 file 정구홍9 2010.12.09 2944
874 대전 샘골공부방 방문기 이덕용 2007.07.04 2931
873 무등산행 2 file 정구홍9 2010.11.29 2925
872 알려드립니다. 2 6 이종엽 2011.04.02 2923
871 나는 치사(致仕)하게 은퇴하고 싶다 file 권화현 2010.11.19 2918
870 서울 성곽을 걷다. 8 file 권화현6 2012.01.22 2904
869 겨울이 가고 있는 요즈음!! 4 김기복 2011.02.12 2884
868 봄 오는 소리... 1 file 권화현 2011.02.17 2881
867 안개꽃 1 조성원10 2012.01.16 28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