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5 09:21

봉암사 선방

조회 수 212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굳게 닫힌 산문. 일반인은 물론 불자들도 들이지 않는다고 했다. 곳곳에 내 붙은 출입금지 팻말이다. 굳이 그 글귀가 아니더라도 천지가 눈 길 하나 마주칠 일 없는 스스로의 세계에 취해 하루 내내 가지런하고 한적한 것이  자연 느껴질 질 것 같은 청정 수행도량이다.  선방에 들어와 화두를 잡는다. 면벽참선이라 해야 할 것이다. 스스로의 본성을 찾아 떠나는 심성의 우주 그 깊은 정진의 세계가 곳에 열려 있다. 피안의 눈 안에 보이는 것은 가은의 짙은 채색의 가을 들녘인데 선승의 심안으로 본 것은 어떤 마음의  풍경일까.

사과 향 맡으며 흩뿌리는 송홧가루 밟으며 문경 땅 봉암사 산문에 들어섰던 때가 꽤 지났으니 선승은 지금 하안거를 끝내고 걸망을 걸머지고  산철을 맞아 만행 중일지 모른다. 그렇지 않다면 토굴로 들어가거나 선방에 남아 문을 걸어 잠그고 미처 채우지 못한 불찰의  화두에 여전히 매달려 있을지도 모른다. 또 다시 맞이할 동안거가 심연의 연꽃처럼 다가오고 있다. 꽃 피고 잎 지는 자리마다 부처님의 향 그득한 구도의 길이다. 선승은 과연 세속을 지웠는가.

곳에 세속의 잔흔은 없다. 자연과 우주만이 존재한다. 기나긴 밤 대웅전을 지키는 것은 자연이고 우주이다. 으스름 달 밤  먼 하늘 별과 우주 그리고 선방에 다가서는 침묵의 사방. 대웅전 차마 끝 바람에 닿는 것은 자연의 소리이다. 때가 되면  새벽녘 숲은 자연 다시 깨어난다. 붉은 기운이 지축을 오를 때 어제의 향취는 짙은 안개 되어 날아갔다.자연은 스스로 변하여 오늘의 자연이 된다.  오늘은 다른 석가이고 또 다른 자연의 노래이고 더 깊은 우주의 화두이다.

보름간을 쪼아댄 소나무 둥지에 딱따구리가 신방을 차리고 소쩍새가  밤나무에 알을 낳았다. 들쥐를 부지런히 잡아 나르는 수컷들. 어린 것들이 이제 창공으로 날 때가 되었다. 어미는 둥지를 떠나 맞은 편 잣나무 아래서 따라 나오기를 기다린다. 생이 확연히 드러나는 세상 그 첫발이다. 첫째가 본능적으로 일어섰다. 이윽고 이틀 만에 시원찮은 날개 짓이지만 막내가 일어섰다. 하지만 강자는 그곳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부엉은 그 중 약한 상대를 대번에 알아차렸다.

부엉이에게도 먹여야 할 새끼가 있다. 원앙도 새끼하나 부엉이의 먹이가 되어 버렸다.  숲속엔 물가를 노니는 원앙이 있고 울창한 숲 솔 나무를 연실 쪼아대는 까막딱따구리에 적막을 깨는 소쩍새의 울음이 있다. 자연은 그렇게 존재한다. 먹고 먹히고 삶의 투쟁으로서 자연의 질서가 자연히 존재한다. 자연의 시간으로서 때가 되니 새끼를 낳고 둥지를 만들고 본능으로 자연을 맞이하여 흐르는 물처럼 자연의 시간을 보내고 사라진다. 자연은 그렇게 순환하는 것이다. 이곳에선 자연히 인간도 하나의 자연이다.

번뇌의 삶도 득도의 길도 한 정점으로 모이고 스러지고 또 하나가 되려 한다. 득도의 길은 과연 어디로 향하는 것일까. 멀기만 한 나락이다. 이제 일어선다 하였더니 환한 달밤에 여전히 떠오르는 것이 고향의 어머니이고 풀벌레 소리에  따라 우는 것이 마음이다. 그리하여 번민의 티끌로 묻어나는 시냇물 소리에  삶의 애처로움이 물 되어 따라 흐른다. 요사에 몸 조아리는 객승의 마음이 일 겁을 더하건만 자연은 여전히 적막하다.

산세가 아름답고 들리는 소리 꾀꼬리같이 곱기만 하고 푸른 하늘이 그대로 투영되어 맑기만 한 시냇물이 만져지듯 가깝기도 하다. 하지만 보이는 것만으로 본다고 이제 하지는 않겠다. 느끼는 것만으로 느껴 알 것 같다고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 차라리 보고 느낀 것은 절벽의 나락 끝 한 면에 불과한 것이라 해둘 것이다. 속세의 너울은 벗을 때가 되지 않았을까 싶은 때 그래도 모를 것이 자연의 섭리이다. 세속은 부질없어 벗어난다 하였더니 객승을 잡아끄는 것이 자연이다. 화두는 이어진다.  자연의 질서로서 그들이 존재하고 산다하니 자연의 고통 받는 삶을 그대로 내버려둔다 하여도 나의 우주는 영속한다 할 것인가.


자연에서 보아 온 것들은 그저 순간이요  밖의 조화에 불과한 현상이라는 것을 안다하면서도 짐짓 모른 체 자연의 죽음을 숙명이라 할 것이던가.  아니면 죽음도 늘 그 모습인 것이라고 대범으로 일갈하여 말하여야 할 것인가. 모를 것이다. 자연의 섭리를 알지도 모르지도 못한다하여 차라리 비어둔다고  하자. 빈다는 것이 현상을 비우고 사물의 이치를 깨우쳐 비우고 물욕을  알아두어  마음을 비우고 다가서는 마음의 영롱한 이슬이라도 된다하는 말인가. 어찌 두어야 할 것이며 비어둔 마음이란 또 우주속에서 어찌 흘러가는 것이던가. 그저  모를 것이다.


하얀 눈 내리던 날 문경 가은 땅은 스스로 외톨이가 되었다. 봉암사 선방 오솔길엔 쌀 알갱이 기다리는 자연의 것들이 그 어미 하던 대로 마당 끝에 또 모여들었다. 원앙도 소쩍도 뭐 모를 뭇 새들도 다 같이. 그리고 그 해도  던져진 쌀 알갱이는 그들의 몫이 되었다.  세속으로서 겨우 말하였다. 빈 마음에 다가서는 자연의 섭리는 어떤  의미로 존재하는 것일까. 힘든 바깥세상이니 그 자비는 차라리 불평등한 것이 온당한 것이 아닐까. 공평 정대함은 자연의 섭리 속에 어찌 정리되어 회자하는가. 굳게 닫힌 봉암사 산문이 오늘 더 두껍게 느껴지는 것은. 그리하여 세속의 눈은 여전히 막막하기도 하여 동안거에 들어갔다는 선승의 심안이 그저 알고 싶을 뿐이다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이야기, 하고싶은 이야기.../로그인 사용자만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홈페이지 로그인 안되는 동문은 4 (梅山)권화현6 2014.05.26 34323
공지 보이스 피싱 급증... (梅山)권화현6 2014.02.19 14302
공지 사랑방 주소 file (梅山)권화현6 2014.02.07 14372
71 30주년 행사에 외부인사 축사 권화현 2007.11.18 2262
70 술꾼 1&2 조성원 2007.11.13 2850
69 [re] 술꾼 1&2 박찬호 2007.11.16 2706
68 반갑다 2 박태민 2007.11.11 1819
67 [10일자 ‘조선일보’ 기사 둘] 배재철 2007.11.10 1981
66 김 정규소식.. 1 권화현 2007.11.07 2016
65 산에서 "야~호~" 하면 안되요. ( 펌 글 ) 1 이덕용 2007.11.02 1715
64 야.가슴뛴다.마음은 아직도 청춘이다야... 1 박범 2007.11.01 2100
63 사당동 전철행 조성원 2007.10.31 2691
62 짜장면 조성원 2007.10.25 2379
» 봉암사 선방 조성원 2007.10.25 2123
60 늦가을의 독주 조성원 2007.10.17 2776
59 3학년7반 장호재 1 장호재 2007.10.17 2277
58 가을 단풍 6 조성원 2007.10.15 2532
57 세계 최고의 철강인 [朴泰俊] 이대환 현암사 2004 배재철 2007.10.05 22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Next
/ 67